반응형

아이를 키우는 가정이라면 매달 지원되는 부모급여는 매우 중요한 생활비 보탬입니다. 그런데 2025년 하반기부터는 영유아 보육료가 인상되면서, 부모급여 차액이 줄어드는 변화가 생깁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모급여 차액의 개념, 2025년 상·하반기 비교, 신청 방법과 지급일까지 꼭 필요한 정보만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부모급여 차액 받으러 가기
부모급여 차액 받으러 가기


1. 부모급여 차액이란?

  • 부모급여는 만 0세(100만 원), 만 1세(50만 원) 아동에게 지급됩니다.
  • 아이가 어린이집을 다닐 경우, 부모급여에서 **영유아 보육료를 제외한 금액(차액)**이 부모 계좌로 지급됩니다.
  • 즉, 어린이집 이용 시에도 지원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보육료를 뺀 나머지 금액을 현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2. 왜 차액이 줄어드나요?

2025년 하반기(7월)부터 영유아 보육료가 5% 인상됩니다.
그만큼 보육료 단가가 올라가면서, 부모급여에서 차감되는 금액이 많아져 차액이 줄어드는 것입니다.

  • 인상된 보육료는 어린이집 서비스 개선과 질 향상에 사용됩니다.

3. 2025년 상·하반기 부모급여 차액 비교

📌 상반기(6월까지)

  • 만 0세: 100만 원 – 54만 원 = 46만 원 차액 지급
  • 만 1세: 50만 원 – 47.5만 원 = 2만 5천 원 차액 지급

📌 하반기(7월 이후)

  • 만 0세: 100만 원 – 56.7만 원 = 43만 3천 원 차액 지급
  • 만 1세: 50만 원 – 50만 원 = 차액 없음

👉 정리하면, 만 0세 아동은 차액이 줄고, 만 1세 아동은 차액이 사라집니다.


4. 부모급여 신청 방법

방문 신청: 전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출생신고와 함께 원스톱 신청 가능

온라인 신청:

※ 신청은 출생일로부터 60일 이내 해야 하며, 어린이집·종일제 아이 돌봄을 이용한다면 해당 서비스도 별도로 신청해야 합니다.


5. 부모급여 지급일

  • 부모급여 본 지급: 매월 25일
  • 차액 지급일: 매월 20일

👉 두 번 나누어 들어오니, 가계부 정리할 때 꼭 기억해 두세요.


결론

2025년부터 부모급여 차액 제도는 보육료 인상에 따라 일부 축소되지만, 여전히 가정에 큰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 특히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가정도 차액 현금 지급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신청만 놓치지 않는다면, 안정적인 양육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만 1세 아동도 차액을 받을 수 있나요?
👉 2025년 7월 이후부터는 차액이 없습니다. 즉, 전액이 어린이집 보육료로 사용됩니다.

Q2. 부모급여와 아이돌봄 서비스는 동시에 신청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단, 아이돌봄 서비스는 별도 신청 절차가 필요합니다.

Q3. 신청을 늦게 하면 지원금을 못 받나요?
👉 출생 후 60일 이내 신청 시 출생 월부터 소급 지원됩니다. 늦더라도 반드시 신청하세요.

반응형